혼자공부

컨디션이 좋지못한 환자의 Hb수치 상승에 대하여

폰라마이 2025. 4. 11. 10:45

요양병원에서 환자를 케어하다보면 컨디션이 저하되어 질병의 발생으로  행위 또는 특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수액과 항생제 치료를 하는일이 많습니다. 이때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이 때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전반적으로 컨디션이 좋지 않은 환자에게서 혈액검사(Hb, 헤모글로빈) 수치가 오히려 상승한 것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일반적으로 빈혈을 걱정할 상황에서 Hb 수치가 높게 나오는 건 의외일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단순히 "건강해졌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오히려 정확한 해석이 필요한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그 이유를 사례와 함께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사례]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80대 여성 환자 A씨는 최근 며칠간 식사량이 눈에 띄게 줄고, 전신 쇠약과 무기력 증상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보호자도 “며칠째 거의 아무것도 못 드신다”고 걱정하며 간호사실로 찾아왔죠. 탈수 소견이 의심되어 시행한 혈액검사에서는 의외로 Hb 수치가 오히려 상승해 있었습니다. 식사를 거의 못하는 상황에서 예상과는 다른 결과에 의료진도 의아해했지만, 이는 환자의 상태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1. 상대적 혈액 농축(Hemoconcentration)

● 정의
상대적 혈액 농축은 혈액 내 수분이 줄어들면서 혈구 성분이 상대적으로 증가해 보이는 현상입니다.

● 메커니즘
환자가 식사나 수분 섭취를 거의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탈수(dehydration) 가 쉽게 발생합니다.

혈액 내 수분이 줄어들면 혈액은 더욱 끈적해지고, 헤모글로빈(Hb), 헤마토크릿(Hct) 등의 수치가 실제보다 높게 측정됩니다.

이때 실제 적혈구 수가 증가한 것이 아니라 혈장(plasma)의 양이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 임상적 해석

이러한 Hb 수치 상승은 진성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vera) 같은 질환이 아니라면, 대부분 상대적 증가로 봅니다.

즉, ‘진짜로 건강해서 Hb가 오른 것’이 아닌 체내 수분 부족으로 인한 착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2. 급성 스트레스 반응 및 호르몬 변화

● 코르티솔과 Hb의 관계


체내에 급성 스트레스(예: 통증, 감염, 전신 쇠약 등)가 있을 경우 부신피질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증가합니다.

코르티솔은 혈중 적혈구 생성 촉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Hb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적용


이는 단기간의 변화이며, 환자가 회복되거나 스트레스 요인이 사라지면 수치는 정상화될 수 있습니다.

만성 질환 환자나 암환자 등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3. 산소 공급 저하에 대한 보상 반응

● 저산소 상태와 Hb 상승


만성 저산소증(예: 호흡기 질환,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체내 산소 운반 능력을 높이기 위해 적혈구 생성이 촉진됩니다.

이 경우는 절대적인 Hb 수치 증가가 나타납니다.


● 주의할 점


이 경우에는 단순한 수분 부족이 아닌, 기저 질환으로 인한 보상 메커니즘이므로, Hb 수치를 그대로 건강 지표로 해석하면 위험합니다.





4. 일시적 검사 수치 변화 가능성

● 채혈 시점의 영향


환자가 수액을 맞기 전, 기상 직후, 장시간 공복 상태 등에서 채혈하면 Hb 수치가 일시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는 채혈 시점의 상태에 따라 수치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항상 다른 임상 징후와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





5. 결론 및 간호사로서의 해석 포인트


Hb 수치 상승 = 반드시 좋은 상태는 아님

환자의 전반적인 컨디션, 수분 섭취, 체온, 호흡 상태, 혈압, 의식 상태 등을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판단 가능

특히 소량 식사, 무기력, 수분 섭취 저하가 동반된 상태에서는 Hb 수치 상승이 오히려 탈수나 위중함의 지표가 될 수 있음

의료진과 상의하여 수액 투여 여부, 탈수 교정 필요성 등을 평가해야 함








지금까지 컨디션 저하환자의 Hb수치상승의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았습니다.
가끔 이런 수치상승에 대해 궁금증을 가질때가있어서 찾아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처럼 이런 궁금증을 가진 선생님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