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

[유치도뇨 삽입 방법 & 제거 순서 총정리] – 간호 실무 술기 매뉴얼과 팁

유치도뇨(catheterization)는 병동이나 요양병원, 응급실 등에서 자주 시행되는 간호술기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유치도뇨의 기본 개념부터 삽입 및 제거 순서, 실제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팁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1. 유치도뇨란?유치도뇨란, 요도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방광 내 소변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키는 술기입니다. 주로 자가 배뇨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시행하며, Foley catheter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2. 삽입 전 준비물멸균 유치도뇨 세트Foley 카테터 (보통 14~16Fr)멸균 장갑멸균 윤활제Urin bag소독제 (Povidone-iodine 등)멸균 생리식염수 or 주사기 (벌룬 주입용)방수포, 거즈, 폐기물통3. 유치도뇨 삽입 순서1. 손 위생 후 , 방수포로 환부 노출 및 ..

간호술기 2025.04.18

요양병원 간호사 나이에 대하여

요즘 검색해보면 “요양병원 간호사 나이”에 대한 글이나 질문들이 많이 보입니다. 특히 요양병원에서 일하려는 간호사분들이 ‘나이가 많으면 불리할까?’, ‘나이 많은 간호사들은 어떤 대우를 받을까?’ 하는 고민을 종종 하시는 것 같아요. 저 역시 요양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이 주제에 대해 제 경험과 생각을 정리해보고 싶었습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나이는 큰 문제가 아닙니다.실제로 제가 근무 중인 요양 병원에는 20대부터 많게는 70세까지 다양한 연령의 간호사 선생님들이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간혹 나이가 많은선생님과 근무하면 많은일을 자신이 다 떠맡을까 걱정하는 선생님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나이가 많다고 해서 무조건 일을 다 떠넘긴다거나,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거나 하는 일은 흔하게 벌어지지는..

근무 이야기 2025.04.11

컨디션이 좋지못한 환자의 Hb수치 상승에 대하여

요양병원에서 환자를 케어하다보면 컨디션이 저하되어 질병의 발생으로 행위 또는 특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수액과 항생제 치료를 하는일이 많습니다. 이때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요이 때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전반적으로 컨디션이 좋지 않은 환자에게서 혈액검사(Hb, 헤모글로빈) 수치가 오히려 상승한 것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일반적으로 빈혈을 걱정할 상황에서 Hb 수치가 높게 나오는 건 의외일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단순히 "건강해졌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오히려 정확한 해석이 필요한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그 이유를 사례와 함께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사례]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80대 여성 환자 A씨는 최근 며칠간 식사량이 눈에 띄게 줄고, 전신 쇠약과 무기력 ..

혼자공부 2025.04.11

밤에 증상이 심해지는 치매에 대하여

요양병원으로 이직후 최근 가장큰 문제는 치매환자의 관리에 대한것입니다. 늦은밤이나 새벽이되면 잠에서 깨어 침상에서 내려오는 환자들이 꽤나 많습니다. 가정에서 돌보시는 분들 중"밤마다 침대에서 내려오고, 돌아다니다 넘어질까 걱정된다"는 이야기도 정말 많이 듣습니다.실제로 낙상 사고로 응급실에 실려오는 어르신 중 많은 분이 치매를 앓고 계시며, 주로 밤 시간대에 사고가 발생하곤 합니다.왜 치매환자들은 밤이되면 치매 증상이 심해지는지 궁금해져서 찾아보았고 정리해 보았습니다.밤에 치매증상이 심해지는 이런 증상은 단순한 밤잠 부족이 아니라, [해질 무렵 증후군(Sundowning)]이라는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밤이 되면 더 불안해지는 치매 환자들 – 해질 무렵 증후군이란?해질 무렵 증후군은 치매 환자에게서 나..

혼자공부 2025.04.11